신나무골 성지 신나무골성지


신나무골성지 메뉴열기

성지소개

신나무골 성지 구석구석

한옥 지붕

성지 내에서 대표적인 한옥 지붕을 감상할 수 있다. 성전은 궁궐에서만 사용되는 기법인 흰색 용마루를 팔작지붕에 활용해 품격을 높였다. 성당 옆 사제관은 우진각지붕이며, 성당 옆 쉼터는 맞배지붕으로 만들었다. 옛 사제관과 휴게실은 초가지붕으로 표현했다.

· 팔작지붕 : 여덟 팔(八)자를 닮은 지붕
· 우진각지붕 : 모서리를 강조한 지붕
· 맞배지붕 : 옆면이 마주보고 있는 지붕
· 초가지붕 : 초가로 만든 지붕

신나무

신나무(Acer ginnala, 莘)는 단풍나무에 속하며, 8m 가량 자란다. 나무껍질은 검은 빛을 띤 갈색이며 잎이 3갈래이다. 5~7월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꽃이 피고, 향기가 난다. 잎으로 회흑색의 물감을 얻어 법복 등을 물들이는데 쓰였다. 잎눈은 약재로 눈병, 설사를 멎게 하고, 다친 피부의 분비물을 마르게 한다. ‘신나무’라는 명칭은 눈병에 ‘눈을 씻는다.’에서 유래됐다는 설과 염료로 ‘색을 낸다.’에서 ‘싣(色)나모’가 유래됐다는 설이 있다.

로베르 신부의 사제관

로베르(Achille Paul Robert, 金保祿, 1853~1922) 신부는 1885년 12월 이이전 안드레아(李以全)에게 마루 하나가 있는 3칸짜리 공소 건물, 서당 선생 집, 논을 사서 2년을 살았다. 1887년 11월 보두네(Francois Xavier Baudounet, 尹沙勿, 1859~1915) 신부가 18개월, 1889년 3월 죠조(Moyse Jozeau, 趙得夏, 1866~1894) 신부가 1년을 살았다. 1894년 4월 파이야스(Camillus Cyprien Pailhasse, 河敬朝, 1868~1903) 신부가 와서 1895년 9월 가실로 거처를 옮겼고, 신나무골은 공소가 됐다.
1984년 남방 첫 본당 터를 복원했지만, 위치와 방향과 모습이 정확하지 않았다. 새방골 사제관 옛날 사진을 활용해 2018년 새롭게 복원했다.

십자가형 한옥성당

십자가형 한옥 성당은 1898년 12월 25일 축성했다. 약현성당(1893년), 답동성당(1896년), 명동성당(1898년) 다음으로 건립됐고 ‘루르드의 성모 성당’이라 불렀다. 하지만 목조 건물이었기 때문에 완공된 지 2년 2개월만인 1901년 2월 4일 밤 8시경 지진으로 시작된 화재로 전소됐다.

신나무골 상징 십자가

신나무골 성당은 화재로 소실된 계산동 십자가형 한옥성당을 복원해 지었다.
성당 지붕 위의 십자가와 창문은 옛 사진을 보고 재현했다. 한옥 지붕 위에 십자가를 세운 것은 국내 최초이다.
지붕과 막새기와와 담장 등에 있는 둥근 모양의 십자가는 계산성당 초창기 대문 담장에 있던 문양으로 현재 성모당 가장 윗부분에 24개의 십자가가 있다.

상량문

상량식은 집을 지을 때 기둥을 세우고 보를 얹은 다음 마룻대를 올릴 때 지내는 의식이다. 건축에서 마룻대는 건물의 중심으로 축원과 건물의 건립 연대를 알 수 있게 일시를 기입한다. 신나무골 성지 상량문에 교구장의 사목 표어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와 한글 서명을 넣었다.

성모당

로베르 신부는 1887년 중국 예수회 선교사 이탁(李鐸)의 신심서 『성모성월』을 우리말로 번역하여 출간했다. 계산동에 십자가형 한옥 성당을 짓고 ‘루르드의 성모 성당’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성당 앞에 루르드의 성모를 모셨다.

우물 터

로베르 신부가 신나무골에 정착할 무렵 8~9가구의 36명의 신자가 있었다. 현재 십자가형 성당의 기둥이 있는 자리에 마을 신자들이 마시는 우물이 있었다. 조금 떨어진 곳에 우물터를 모형 형태로 복원했다.

빨래터

마을에 내(川)가 흘렀고, 빨래하는데 사용했던 우물이 있었다. 우물 아래에 작은 연못이 있었고, 연못 옆에 디딜방앗간이 있었다. 우물과 작은 연못을 상징해 카페 옆에 실개천을 만들었다.

순례지

"순례지는 많은 신자들이 교구 직권자의 승인 아래 특별한 신심 때문에 빈번히 순례하는 성당이나 그 밖의 거룩한 장소를 뜻한다."(교회법 1230조)
성지(聖地, Terra sancta)는 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나 생활하다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부활한 땅인 팔레스티나를 뜻한다. 그리스도교 공인 이후 순교자, 성모발현, 성인과 관련된 지역으로 확대됐다.
우리나라에서는 신심 때문에 빈번히 순례하는 장소를 교구장들이 성지(聖趾, loci sancti)로 선포했다. 구체적으로 '하느님의 종', '복자', '성인'이 순교한 곳이나 무덤이 있으며 전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소를 성지(聖趾, loci sancti, holy places)라 하고, 그 외 순교자의 삶과 연관된 장소를 순교 사적지(殉敎史跡地)라 부르고 있다. 순교자와 관계는 없지만 신앙 선조들의 삶과 영성이 담겨 있는 곳을 순례지(巡禮地, Sanctuariis)로 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