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나무골 교우촌 생성과 성직자 방문
주변 골짜기에 신나무가 많아서 '신나무골'이라 불렸다.
1815년 을해박해 때 대구 경상감영으로 끌려온 신자의 가족들이 살기 시작하면서 형성됐다.
1837년 서울에서 김현상 요아킴 가정이 신나무골을 거쳐 팔공산 중턱으로 올라가 한티에 정착했다는 기록이 있다.
1838년 12월 1일 앵베르 주교의 편지에서 샤스탕 신부의 대구 방문을 추정한다.
“감옥에 갇힌 신앙의 증거자들이 자기 죄를 편지로 신부에게 밝히고 같은 날이나 다음날 감옥 문 앞으로 지나가는 그 신부에게 그가 지나가는 것을 보면서 신부의 신호로 통회하는 마음을 발한다면, 사죄를 받을 수 있는지요? 실제로 남부 지역에서 그해에 (1827년부터) 12년간 감옥에 갇혀 있던 증거자 일곱 명이 큰 기쁨으로 사죄를 받았습니다.”
1846년 다블뤼 신부가, 1849년 - 1861년 6월까지 12년 동안 최양업 신부가 경상도 지방을 순회할 때 신나무골을 방문했을 가능성이 많다.
1865년부터 1866년 병인박해 직전까지 리텔 신부가 경상도 남쪽 지방을 순회하며 신나무골에 와서 성사를 주었다.
병인박해 전후의 신나무골 교우촌
1862년 이이전 안드레아 가정이 칠곡군 지천면 ‘웃갓’에 잠시 머물다가 신나무골로 이사를 왔다. 1866년 병인박해 전후로 신자들은 사방으로 뿔뿔이 흩어졌다 모이기를 반복했다.
1885년경 8~9가구에 40명 정도의 신자들이 살았다.
이선이 엘리사벳의 순교
이선이 엘리사벳은 배손이와 결혼해 칠곡 골버실(국우동)에 살다가 1860년(경신년) - 1866년(병인년) 사이 박해를 피해 신나무골을 거쳐 팔공산 중턱으로 피신했다. 한티 옹기굴에서 포졸들에게 체포된 이선이와 아들 배도령 스테파노는 “죽어도 천주교를 믿겠다.”며 신앙을 고백하고 순교했다. 배손이가 이선이와 배도령의 시신을 임시로 한티 뒷산에 묻었다가 이선이의 시신은 칠곡읍 아양동 문중 선산에(현재 칠곡IC 뒷산) 안장했다.
초대 로베르 아킬레오 신부 (Achille Paul Robert, 金保祿, 1853~1922)
로베르 신부는 1882년 경상도 지역 책임을 맡아서 신나무골로 내려와 이이전 안드레아 집을 매입해 사제관으로 만들고, 1885년 12월 대구본당을 설립해 정착했다. 서상돈 아우구스티노(1851~1913)와 사촌 동생 동정녀 서 마리아(1859~1917), 복사 이호연 베드로가 로베르 신부를 도와 신나무골에 상주했다.
“저는 갖가지 난관을 이겨내고 마침내 경상도 신자들 사이에 정착했습니다. 주교님도 아시다시피 선교사가 경상도에 사제관을 두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1886년 4월 21일 칠곡에서 보낸 로베르 신부 사목보고)
대구 전교를 위해 1887년 11월 새방골을 거쳐, 1891년 12월 계산동으로 들어갔다. 1896년 5월 31일부터 계산동에 십자가형 한옥 성당을 짓기 시작해 1898년 9월 1일 성당을 완공했지만 1901년 2월 4일 밤 8시경 대구 지진과 화재로 전소됐다.
“저의 구역은 전라도와 경상도 전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저는 갖가지 난관을 이겨내고 마침내 경상도 신자들 사이에 정착했습니다. 주교님도 아시다시피 선교사가 경상도에 사제관을 두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1886년 4월 21일 칠곡에서 보낸 로베르 신부 사목보고)
1890년 충주 출신 박상언 요한(朴相彦) 선생이 내려와 천자문과 한글을 가르쳤다. ※ 십자가형 한옥 성당

2대 보두네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신부 (Francois Xavier Baudounet, 尹沙勿, 1859~1915)
보두네 신부는 1887년 11월부터 18개월 동안 신나무골에 머물며 경상도 북부와 전라도 일부를 사목하다가 1889년 3월 전주 완주군 소양면 대성동으로 가서 전동성당을 설립한다.
1915년 5월 27일 성당 내부공사가 한창 진행되던 중 미사를 드리다 쓰러져 선종했다.
3대 죠조 신부(Moyse Jozeau, 趙得夏, 1866~1894)
죠조 신부는 1889년 3월부터 1년간 신나무골에서 사목하다가, 1890년 부산 영도 ‘조내기’에 초가 한 채를 지어 정착하고 부산성당을(청학동 성당) 설립한다.
1891년 7월 초량으로 성당을 옮겼다가, 1916년 5월 말 범일동으로 이전했다.
뮈텔 주교의 신나무골 공소 방문
1893년 11월 조선대목구장 뮈텔 주교가 경상도 지방을 사목 방문해서 신나무골과 장자동에서 견진성사를 주었다. “로베르 신부가 새방골로 가기 전에 2년간 살았던 곳이 여기이다. 로베르 신부의 뒤를 이어 보두네 신부가 18개월을, 그리고 죠조 신부가 1년을 살았다.”
(뮈텔 주교 일기 1권 1893년 11월 18일)
4대 파이야스 가밀로 신부 (Camillus Cyprien Pailhasse, 河敬朝, 1868~1903)
파이야스 신부는 1894년 4월부터 1년간 신나무골에서 사목했다. 이후 왜관 가실에 집과 전답을 사들여 수리한 후 1895년 6월 가실 본당을 설립하고 9월에 거처를 옮겼다.
신나무골 공소
1895년 가실 본당 공소, 1926년 왜관 본당 공소가 됐다.
1959년 12월 공소를 헐고 자재를 팔아 수도원에 봉헌하고 신동 공소로 합쳤다.
신나무골 성지 제1차 개발
1974년 레지날도(Reginaldus Egner, 王默道, 1973~1975) 신부는 신나무골이 신앙의 요람지임을 알고 개발을 시작해서 1977년 7월 11일 김구정 선생이 글을 쓴 ‘대구 천주교 요람지 기념비’를 세웠다.
신나무골 성지 제2차 개발
1982년 신동성당에서 축대 쌓기, 나무 심기, 광장 넓히기 등 성지 확장 공사를 했다.
1983년 로베르 신부의 흉상을 세우고, 1984년 대구 첫 본당 터를 복원하면서 옛 사제관과 학당, 명상의 집을 개축했다. 1984년 7월 8일 이선이 엘리사벳의 유해를 이장했다.
신나무골 성지 제3차 개발
2015년 대구대교구는 왜관수도원으로부터 성지 관할권을 넘겨받고 본격적인 개발을 시작했다.
2018년 2월 28일 기공식을 한 후, 8월 9일 성당 상량식을 갖고 십자가형 한옥 성당과 로베르 신부 초가 사제관을 복원했다.
2019년 5월 2일 천주교 대구대교구장 조환길 타대오 대주교가 성지를 축성했다.